광명 신안산선 공사 현장에서 붕괴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13일 사고 현장 모습. 김도균기자
13일 오전 11시30분께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공사 현장. 붕괴 사고가 난 지 3일째, 여전히 현장은 아수라장이었다. 도로는 아래로 구부정하게 휘어 있었으며 인근에 위치한 건물 간판과 가림벽은 당장이라도 쓰러질 듯 위태롭게 내걸려 있었다.
사고 지점은 도로 한복판에 커다란 구멍이 생긴 것처럼 폭삭 내려앉아 토사와 자재가 지하로 쏟아진 모습이었다. 인근엔 사고 충격으로 바로 앞 왕복 6차선 도로도 무너져 내렸으며 아스팔트 곳곳이 갈라져 있었다.
소방당국은 전날부터 이어진 강풍과 비로 인해 추가 피해 예방을 위한 활동에
삼본정밀전자 주식 분주했다. 구조에 이용한 크레인 등 장비들은 수색 재개를 기다리듯 멈춰 있었다.
계속해서 불어오는 세찬 바람에 설치된 천막들이 휘날렸고, 구조대원들은 이내 안전사고를 대비하기 위해 지친 몸을 이끌고 예방 활동에 열을 올렸다.
이날 오전 9시부터 광명시와 소방당국 등 유관기관은 수색 재개를 위한 상황 판단 회의를 진행
부동산절세 했으나, 이 같은 날씨에 쉽사리 결정을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광명 신안산선 붕괴 사고로 근로자 1명이 실종된 가운데 수색 재개에 상당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경기도소방재난본부 등에 따르면 관계당국은 이날 오전 9시부터 수색 재개 등을 위한 상황 판단 회의를 진행 중이다. 하지만 전날 강풍을 동반한
장기투자유망주 호우 등으로 구조 현장의 안전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며, 관계기관들은 결정에 고심을 하는 모습이다.
소방당국은 재개 결정 시 빠른 수색을 위해 특수대응단과 광명·군포·안산·안양 등 5개 대를 현장에 배치하고 350t, 500t급 크레인 2대, 소방드론 등 장비와 인력을 준비해둔 상태다.
앞서 소방당국은 전날 오후 3시
황금포카성 께 사고 현장에 추가 크랙이 발생하고 일부 구조물이 떨어지자 추가 붕괴 위험이 있다고 판단, 지하터널 하부공간 수색 중단을 결정했다.
소방당국 관계자는 “사고 현장에서 발생한 틈이 어제보다 많은 상태여서 현장 투입을 못하고 있다”며 “전문가들의 의견 등을 종합해 수색 재개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사고는
해동선투자클럽 지난 11일 오후 3시13분 신안산선 복선전철 제5-2공구에서 발생했으며, 근로자 2명이 각각 고립·실종됐다.
고립된 근로자는 사고 발생 13시간여 만에 구조됐으며, 소방당국은 실종된 근로자가 컨테이너 안에 갇혔다는 동료들의 진술을 토대로 수색 등을 진행해왔다.
김도균 기자 dok5@kyeonggi.com